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오너(Owner)로서 이용하는 자동차(승용, RV)는 보통 차량 크기 및 배기량에 따라 대형, 준대형, 중형, 준중형, 경형 등으로 구분한다. 반면 상용차(商用車, Commercial Vehicle), 특히 승합차(乘合車)로 분류되는 "버스(Bus. Omnibus)"는 차급 및 형식을 어떻게 구분할까? 아마도 대부분은 "버스는 다 생김새가 똑같아 그게 그거지." 또는 그래도 구분한다면 "고속버스 모양, 일반버스 모양" 그것도 아니라면 "버스는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일 뿐 차급 및 형식에는 관심 없다."인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버스는 상상 이상으로 승용, RV 보다도 더 복잡한 차급 및 형식 구분을 가지고 있다. 이에 여기에서는 버스의 차급 및 형식 구분을 "겉보기 외형, 차체 및 운전석 높이, 출입문 계단 개수, 전장 및 크기, 엔진 위치"를 기준으로 실차 사진을 참고로 하여 가능한 쉽게 알아보도록 한다.
|
고속형 버스의 세부적인 차급 및 형식 구분으로 "전고(全高, Overall Height / 차체 높이)"에 따라 구분한다.
1. 저운전석 (Low Cockpit) (1) DD (Double Decker)
(2) UFC (Under Floor Cockpit)
(3) GHD (Grace High Decker)
(1) SHD (Super High Decker)
(2) RHD (Regular High Decker)
(3) HD (High Decker)
(4) SD (Standard Decker)
※ 고속형과 준고속형 구분은 "전장 및 크기에 의한 버스 차급 및 형식 구분" 부분에서 세부적으로 다룬다.
|
이 기준은 앞서 설명했던 고속형 버스(차체 및 운전석 높이로 구분), 도시형 버스(출입문 계단 개수로 구분)와는 다른 주로 "전장"과 "전폭" 그리고 "축간거리"를 기준으로 한 구분방법이면서 거의 모든 버스를 크기로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들어가기 전에 용어 설명 |
(2) 전폭(全幅, Overall Width) (3) 축간거리(軸間距離, Wheel Base)
|
1. 대형버스 (전장 10m 이상, 전폭 2.4m 이상)
여기서는 전장 12m급 대형버스를 표준으로 삼아 전장 및 축간거리에 따라 상대적으로 분류한다.
(1) 굴절형(屈折型, Articulated-type)
전장 16.5m 이상으로 중간에 굴절 가능한 연접부를 가진 대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18m 전후(3차축)가 일반적이며 최대 2개의 연접부를 지닌 전장 25m 전후(4차축)인 굴절형도 있다.
우리나라에선 지난 2005년 현대자동차에서 굴절형 버스를 컨셉으로 시험제작하여 일반에 공개했지만 본격 양산에는 이르지 않아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은 없다. (2010년 6월 기준)
굴절형 버스의 예 | ||||
|
|
|
|
|
Mercedes-Benz Citaro G |
|
Neoplan Jumbo Cruiser |
|
Scania Omni City Articulate |
(2) 초장축형(超長軸型)
전장 13.75m, 전륜-후륜 간 축간거리 7m 이상인 대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14m 또는 15m 전후(3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2차축)가 일반적이며, Neoplan에서 생산하는 전장 15m급 이층버스인 Megaliner의 경우 축하중 분산을 위해 4차축(전륜 2차축, 후륜 2차축)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은 없다. (2010년 6월 기준)
초장축형 버스의 예 | ||||
|
|
|
|
|
Setra Multi-class S 319 NF |
|
Neoplan Megaliner |
|
Mercedes-Benz Citaro L |
(3) 장축형(長軸型)
전장 12.5m, 전륜-후륜 간 축간거리 6.5m 이상인 대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13m 전후(3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2차축)가 일반적이며, 일부 전장 12.5m ~ 13m 사이인 전장을 지닌 차종은 2차축(전륜 1차축, 후륜 1차축)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으로는 기아자동차 New Granbird Silkroad, New Granbird Bluesky가 유일하다.
장축형 버스의 예 | ||||
|
|
|
|
|
Scania Marcopolo Viaggio Novo |
|
Setra Multi-class S 316 UL |
|
기아 New Granbird Silkroad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장축형 버스 차종 | |
기아자동차 |
New Granbird Silkroad, New Granbird Bluesky |
(2010년 6월 기준) |
(4) 표준축형(標準軸型)
전장 11.25m, 전륜-후륜 간 축간거리 5.5m 이상인 대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11.5m ~ 12m(2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1차축)가 일반적이며, 이층버스 차종의 경우 전장 12m급도 축하중 분산을 위해 3차축(전륜 1차축, 후륜 2차축)을 적용한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대부분의 대형 고속형 버스가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이다.
표준축형 버스의 예 | ||||
|
|
|
|
|
MAN Lion's City |
|
Volvo 9700 RHD |
|
三菱 FUSO New Aero Queen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표준축형 버스 차종 | |
대우버스 |
BX / FX 시리즈, BH120F Royal Cruiser, BH116 Royal Luxury, BS120CN |
현대자동차 |
Universe 시리즈, Aero Space 시리즈 |
기아자동차 |
New Granbird Sunshine, New Granbird Parkway, New Granbird Greenfield |
(2010년 6월 기준) |
(5) 단축형(短軸型)
전장 10m, 전륜-후륜 간 축간거리 4.5m 이상인 대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10m ~ 11m(2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1차축)가 일반적이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대부분의 대형 도시형 버스가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이다.
단축형 버스의 예 | ||||
|
|
|
|
|
대우 BC211M Royal Hi-city CNG |
|
Setra Top-class S 411 HD |
|
현대 New Super Aero City SE CNG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단축형 버스 차종 | |
대우버스 |
BS120CN, BS090을 제외한 BS / BC (CNG) 시리즈 |
현대자동차 |
New Super Aero City (CNG) 시리즈 |
(2010년 6월 기준) |
※ 표준축형을 국내에선 고속형 버스에 한해서 다시 "고속형"과 "준고속형"으로 세부적으로 구분한다.
고속형(高速型)
: 전장 12m급(정확히는 11.9m 이상) 또는 그 이상의 전장에 속하는 고속형 버스 형식
전장 13m 이상급의 양산형 버스를 생산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고속형을 "장축(長軸) 고속형 버스"라 표현하기도 한다.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고속형 버스 차종 | |
대우버스 |
BX 212 Royal Hi-decker 시리즈, FX212 Super Cruiser, FX120 Cruising Star |
현대자동차 |
Universe Express Noble, Universe Express Prime |
기아자동차 |
New Granbird Sunshine, New Granbird Parkway |
(2010년 6월 기준) |
준고속형(準高速型)
: 전장 11.25m 이상 11.9m 미만에 속하는 고속형 버스 형식
전장 13m 이상급의 양산형 버스를 생산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준고속형을 "단축(短軸) 고속형 버스"라 표현하기도 한다.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준고속형 버스 차종 | |
대우버스 |
FX116 Cruising Arrow, FX115 Cruiser, BH116 Royal Luxury |
현대자동차 |
Universe Space 시리즈, Aero Space 시리즈 |
기아자동차 |
New Granbird Greenfield |
(2010년 6월 기준) |
2. 중형버스 (전장 8m 이상, 10m 미만, 전폭 2.0m 이상)
여기서는 전폭에 따른 크기로 분류한다.
(1) 미디엄형(Midium-type)
전폭 2.4m 이상의 대형버스 전폭을 지닌 중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9m(2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1차축)가 일반적이다.
도시형 버스의 경우 외국에선 이 형식의 1계단 및 무계단 저상형식을 생산한다.
미디엄형 버스의 예 | ||||
|
|
|
|
|
대우 BH090 Royal Star |
|
Mercedes-Benz Tourino |
|
현대 Green City CNG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미디엄형 버스 차종 | |
대우버스 |
BH090 Royal Star, BS090 Royal Midi (CNG) |
현대자동차 |
Green City (CNG) |
(2010년 6월 기준) |
(2) 라이트형(Light-type)
전폭 2.0m 이상 ~ 2.4m 미만의 전폭을 지닌 중형버스 형식
대체적으로 전장 8.5m ~ 9m(2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1차축)가 일반적이다.
도시형 버스의 경우 외국에선 이 형식의 1계단 및 무계단 저상형식을 생산한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으로는 현대자동차 e - Aero Town이 유일하다.
라이트형 버스의 예 | ||||
|
|
|
|
|
현대 e - Aero Town |
|
三菱 FUSO Aero Midi MK |
|
기아 New Cosmos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라이트형 버스 차종 | |
현대자동차 |
e - Aero Town |
(2010년 6월 기준) |
3. 소형버스
중형버스의 최저 전장 및 전폭에 미달되는 전장과 전폭을 지닌 모든 형식
특히 국내에서 과거에는 전장 6.5m 미만인 소형버스를 "마이크로 버스(Micro Bus, 줄여서 '마이클')"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체적으로 전장 6m ~ 7m(2차축 / 전륜 1차축, 후륜 1차축)가 일반적이다.
도시형 버스의 경우 외국에선 이 형식의 1계단 및 무계단 저상형식을 생산한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으로는 현대자동차 e - County가 유일하다.
소형 버스의 예 | ||||
|
|
|
|
|
현대 e - County |
|
三菱 FUSO Aero Midi ME |
|
Mercedes-Benz Sprinter City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소형 차종 | |
현대자동차 |
e - County |
(2010년 6월 기준) |
이는 앞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버스의 외형적인 형태 및 크기에 의한 구분이 아닌 엔진위치 형식, 다시 말해 버스의 기계적인 제원에 따른 차급 및 형식 구분이다.
(1) 프론트엔진 형식(Front-engine Type)
차체 앞부분에 엔진이 위치한 버스의 형식
전면부에 라디에이터가 위치한다. 공간 효율 및 출입시 불편을 줄이기 위해 승용차처럼 차량 앞부분에 튀어나온 별도의 덮개가 있는 엔진룸에 엔진이 위치한 형식을 별도로 "보닛버스(Bonnet Bus)"라 구분하며 미국 등지에서 스쿨버스 차종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이 차급 및 형식의 차종으로는 대우버스 BF106이 유일하며 여객용도보다는 주로 운전교습, 현금수송 등 특장용도로 주문생산한다.
프론트엔진 버스의 예 | ||||
|
|
|
|
|
대우 BF106 |
|
Bluebird Vision |
|
현대 FB500 |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프론트엔진 차종 | |
대우버스 |
BF106 |
(2010년 6월 기준) |
(2) 리어엔진 형식(Rear-engine Type)
차체 뒷부분에 엔진이 위치한 버스의 형식
후면부에 커다란 엔진보닛이 위치한다. 차체 후면과 후측면에 엔진열을 밖으로 내보내는 방열구와 시원한 공기를 엔진룸으로 들여보내는 흡기그릴이 있다.
현재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중/대형버스의 대부분이 리어엔진 형식이다.
이외에도 "현가장치(縣架裝置, Suspension)", "승객석 좌석수"에 의한 차급 및 형식 구분 등 버스의 기계적인 제원에 따른 여러 차급 및 형식 구분이 있으나 일단 여기까지만 다루도록 한다.
버스의 현가장치는 크게 "에어 서스펜션(Air-suspension)"과 "리프 서스펜션(Leaf-suspension, 판스프링)"으로 구분하는데 주로 고급형 버스에 에어 서스펜션(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 포함)을, 저가형 버스에 리프 서스펜션(롱테이퍼 스프링 서스펜션 포함)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버스 현가장치의 도식 | ||||
|
|
|
|
|
에어 서스펜션 (전륜) |
|
에어 서스펜션 (후륜) |
|
리프 서스펜션 (전/후륜) |
버스의 승객석 좌석수에 의한 차급 및 형식 구분은 성인 표준체격에 맞는 일반(좌석)시트와 최소 좌석간격을 기준으로 차체 내에 통로를 확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최대 승객석 좌석수(인승)로 구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5인승 이하(소형버스), 16인승 이상 ~ 35인승 이하(중형버스), 36인승 이상(대형버스)으로 나누어 구분하여 앞 장에서 설명한 버스의 전장 및 크기에 의한 버스 차급 및 형식 구분과는 대형/중형/소형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다음 장에는 마지막으로 앞서 설명한 내용을 모두 정리하는 의미로 국내 업체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버스의 차급 및 형식 구분을 하나의 표로 정리하여 올린다.
차급 및 형식 구분 |
대우버스 |
현대자동차 |
기아자동차 | ||||
고 |
저 |
DD |
|
|
| ||
UFC |
|
|
| ||||
GHD |
|
|
| ||||
표 |
SHD |
BH120SHD |
|
| |||
RHD |
BX212 Royal Hi-decker |
|
| ||||
HD |
전장 12.5m급 |
|
|
New Granbird Silkroad | |||
전장 12.0m급 |
FX212 Super Cruiser |
Universe Express Noble |
New Granbird Sunshine | ||||
BH120F Royal Cruiser |
|
| |||||
SD |
전장 12.5m급 |
|
|
New Granbird Bluesky | |||
전장 12.0m급 |
FX120 Cruising Star |
Universe Express Prime |
New Granbird Parkway | ||||
준고 |
Air |
FX116 Cruising Arrow |
Universe Space |
New Granbird Greenfield | |||
BH116 Royal Luxury |
Aero Space LS |
| |||||
Leaf |
FX115 Cruiser |
Universe Space |
| ||||
|
Aero Space LD |
AM928 | |||||
전장 9.0m급 |
BH090 Royal Star |
|
| ||||
도 |
Non-step |
전장 12.0m급 |
BS120CN |
|
한국화이바 | ||
전장 11.0m급 |
BS110CN |
New Super Aero City SE |
Primus | ||||
1-step |
전장 12.0m급 |
BC212MA |
|
| |||
전장 11.0m급 |
BC211M Royal Hi-city |
|
| ||||
2-step |
도시저상형 |
BS106L Royal City |
|
| |||
기본형 |
BS106 Royal City |
New Super Aero City (L) |
| ||||
전장 9.0m급 |
BS090 Royal Midi |
Green City |
| ||||
Front-eng. |
BF106 |
|
| ||||
중소형 |
Light급 |
|
e Aero Town |
| |||
소형 |
|
e County |
|
푸른색 글씨 : CNG 버스 생산 차종
붉은색 글씨 : 내수용이 아닌 수출용으로만 생산하는 차종
초록색 글씨 : 내수용으로는 특장용도로만 제한적으로 주문생산하는 차종
Air Susp. 에어 서스펜션 / Leaf Susp. 리프 서스펜션 / Front-eng. 프론트엔진
Kein Kommentar / There is no comment / 댓글은 힘이 됩니다.